1. 구글 검색 기능 중에, "트렌드 검색"이 있다.
인기 검색어와 키워드를, 실시간으로, 비교 분석하는 기능이다. 관심있는 검색어를, 검색창에 입력하면, 바로 결과를 알 수 있다. 비교하려면, ","로 구분해서 입력하면 된다. 지역별, 기간별 검색도 가능하다.
아래 결과를 보면, 지난 30일간, 사람들은, 꾸준히 "사랑"이 무엇인지를 검색했다. "소망"보다 "희망"보다, "꿈"을 꾸기를 바라고 있다. 왜? 그랬을까? "사랑"이 뭐길래, "꿈"이 뭐길래?
좀더 쉬운 설명을 보려면(만화로 보는 트랜드 검색 설명으로 바로 가기)
2. 구글에는, "트렌드 검색"만 있는 것이 아니라, 여러가지 다른 검색도 제공한다.
"연관성 검색"도 있고, "검색 통계"도 있다. 세상은 참!
일반 "구글 검색"으로 "꿈"을 검색하면, 187,000,000 문서가 링크되어 있다고 알려준다. 그 중에 많은 문서가, 내가 원하는 "꿈"이 아니다. 그래서, "꿈, 미래", 두 개의 관련 검색어를 함께 입력하였더니, 39,200,000으로 문서 갯수가 줄어 들었다. 그래도 궁금하다. 내가 원하는 "꿈"을 찾으려면, 어떤 검색어를 조합해야 할까? (2012년 7월 27일 현재).
How is Google Correlate different from Google Trends or Google Insights for Search?
"구글 연관성 검색"는, "구글 트렌드나 구글 검색통계"와 비교해서, 얼마나 다른가?(검색결과를 얼마나 다르게 보여 줄 수 있는가?)Google Correlate is like Google Trends in reverse. With Google Trends, you type in a query and get back a data series of activity (over time or in each US state). With Google Correlate, you enter a data series (the target) and get back a list of queries whose data series follows a similar pattern.
구글 연관성 검색은, 구글 트렌드를 뒤집어 놓았다고 할 수 있다. "구글 트렌드"로는, 특정 검색어를 입력해서, 그 검색어와 관련된 검색활동 자료를 얻을 수 있다(시간별 정보, 지역별 정보 등). "구글 연관성 검색"으로는, "특정 검색어와 관련된 검색활동 자료"를 입력해서, 비슷한 패턴을 보여주는 특정 "검색어 목록"을 얻을 수 있다.
(구글 연관성 검색 FAQ에서 발췌, 마음 가는 대로 번역)
3. 또 다른 검색 도구
구글 도서 검색에 있는 "구글 도서 앤 그램 뷰어".
Ted에서 앤그램 뷰어를 설명하고 있다(한국어 자막을 선택해서 볼 수 있다)
"말뭉치"로 책에 나타난 어휘 빈도수를 기간별로 보여준다. 언어학 연구에서, 말뭉치 분석이 중요한 주제로 떠오른지 오래인데, 현재, 우리말(한국어) 분석은, 제공하지 않는다.
4. 엉뚱한 이야기
"구글 도서 앤 그램 뷰어"를 생각하다가, 엉뚱한 생각이 꼬리를 문다.
우리말 말뭉치 자료가 많아지고 연구가 발전하면, 교육 분야에서도 발전할 분야가 많을 텐데, 한국은 옛날이나 지금이나 기초 인문과학에 투자가 약하다. 지금이라도, 연구 기초환경 만드는 노력을 해야할 텐데, 하긴, 기초는 시간이 걸리고, 어렵고 힘들어서 이해하기 만도 어렵고 힘들긴 하다. 천천히 검토하기에는, 시간이 너무나 짧다.
그래서, "협업"이 필요하고, 그래서, "다음 세대"를 생각해야 하는데, 내 것 챙기기에도 시간이 짧아서 다 챙기지를 못하니, 어찌할까? 그래도, 세상엔, 어디에든지, 좋은 사람들, 고마운 사람들이, 많다. 찾아보자(검색).
by 정환^^*